작성자 영남문화연구원 | 등록일 16-03-17 15:12 | 조회 937회
내용
저자 : 우인수
출판사: 예문서원
경북 종가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다!
「경북의 종가문화」시리즈 제23권 『문무의 길, 영덕 청신재 박의장 종가』. 이 시리즈는 경상북도가 오랜 세월 전해져 온 격조 높은 종가문화를 효율적으로 보존 및 활용하고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2009년부터 추진한 ‘경북 종가문화 명품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종가의 입지조건과 형성과정, 역사, 종가의 의례 및 생활문화, 가풍 등을 수록하고, 종가문화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는 책이다.
소개
목차
제1장 무안박씨와 영덕
1. 영해 그리고 영덕 / 2. 영해 입향 / 3. 무안박씨 영해파
제2장 임진왜란과 무의공 박의장
1. 학문 도야와 출사 / 2. 영천성과 경주성의 수복 / 3. 임진왜란의 마무리 /
4. 신망의 목민관
제3장 종가 위상의 확보와 계승
1. 숭모와 현창 / 2. 무의공종가의 번성
제4장 종가의 제례
1. 제사의 규범과 관리 / 2. 불천위 제사 / 3. 제사 음식
제5장 종가의 건축문화
1. 무의공종택과 관련 건축물 / 2. 충효당과 그 주변 / 3. 경수당과 그 주변
제6장 종손과 종부의 삶
1. 노종부의 이야기 / 2. 종손 내외의 생각
1. 영해 그리고 영덕 / 2. 영해 입향 / 3. 무안박씨 영해파
제2장 임진왜란과 무의공 박의장
1. 학문 도야와 출사 / 2. 영천성과 경주성의 수복 / 3. 임진왜란의 마무리 /
4. 신망의 목민관
제3장 종가 위상의 확보와 계승
1. 숭모와 현창 / 2. 무의공종가의 번성
제4장 종가의 제례
1. 제사의 규범과 관리 / 2. 불천위 제사 / 3. 제사 음식
제5장 종가의 건축문화
1. 무의공종택과 관련 건축물 / 2. 충효당과 그 주변 / 3. 경수당과 그 주변
제6장 종손과 종부의 삶
1. 노종부의 이야기 / 2. 종손 내외의 생각
책 속으로
무안박씨 영해파 가문의 격을 신장시킨 중심에는 박의장이 있었다. 그는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선 인물이었다. 임진왜란기에 경주의 수령으로 오랫동안 재직하면서 왜적과 마주한 최전선을 지키는 장군으로서 맹활약을 하였다. 영천성을 수복하는 데 힘을 보태었고, 이어 경주를 수복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을 뿐 아니라 그 이후 경주를 거점으로 왜적 방어와 소탕에 힘을 쏟았다. 또한 그는 경주지역의 목민관으로서의 역량도 잘 발휘하였다.…… 그리하여 경주민들로부터 끝없는 신망을 입어 임진왜란기 9년 동안 경주의 목민관으로... 더보기
무안박씨 영해파 가문의 격을 신장시킨 중심에는 박의장이 있었다. 그는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선 인물이었다. 임진왜란기에 경주의 수령으로 오랫동안 재직하면서 왜적과 마주한 최전선을 지키는 장군으로서 맹활약을 하였다. 영천성을 수복하는 데 힘을 보태었고, 이어 경주를 수복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을 뿐 아니라 그 이후 경주를 거점으로 왜적 방어와 소탕에 힘을 쏟았다. 또한 그는 경주지역의 목민관으로서의 역량도 잘 발휘하였다.…… 그리하여 경주민들로부터 끝없는 신망을 입어 임진왜란기 9년 동안 경주의 목민관으로서 읍정을 관장하였다.
― 지은이의 말 중에서
― 지은이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