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of Youngnam Culture Research

top

저서·역서

홈 > 출판간행 > 저서·역서

작성자 영남문화연구원   |  등록일 16-03-17 15:49   |  조회 1,289회

  • 저서/역서명 : [경북의 종가문화]3-8 청백정신과 팔련오계로 빛나는, 안동 허백당 김양진 종가
  • 발행처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경상북도
  • 발행일자 : 2014

내용

​​저자 : 배영동

출판사: 예문서원

 

​​경북의 ‘종가宗家’, 세계적 명품문화로 발돋움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종가와 현저한 종가문화를 보유한 곳이다. 경상북도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종가 고택만도 120여 개소가 있으며, 비지정 종택을 포함하면 240여 개소에 달할 정도이다. 이번 경북의 종가문화 시리즈 4는 경상북도에 있는 종가 8곳(정양공 이숙기 종가, 허백당 김양진 종가, 지산 조호익 종가, 귀암 이원정 종가, 탁영 김일손 종가, 해월 황여일 종가, 경당 장흥효 종가, 옥천 조덕린 종가)을 선정하여 종가의 입지조건과 형성과정, 역사, 의례 및 생활문화, 건축문화, 종손과 종부의 일상과 가풍의 전승 등을 토대로 일반인들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내용면에 있어서도 철저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각기 집필함으로써 종가별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소개

​​

목차

제1장 오미마을 허백당종가의 성립과 발전
1. 오미마을의 터전과 풍산김씨 / 2. 허백당종가이자 유연당종가

제2장 허백당 김양진과 그 후예들의 삶과 의식
1. 허백당 김양진의 청백정신 / 2. 가학을 계승한 허백당의 아들과 손자 / 3. 유연당 김대현의 자녀교육과 구국활동 / 4. 유연당 아들 8형제의 ‘팔련오계’ 경사 / 5. 죽봉 김간의 무신란 창의 / 6. 노봉 김정의 오록 개기와 흥학 / 7. 민족운동에 몸 바친 후예들 / 8. 문중의 과거급제자와 문행

제3장 종가와 문중을 대변하는 주요 건축
1. 허백당종택의 역사와 공간구성 / 2. 대지재사의 구성과 허백당 사당 / 3. 숭조의식이 담긴 추원사와 도림강당 / 4. 유연당의 정취 어린 죽암서실 / 5. 3대에 걸쳐 완공한 영감댁 / 6. 죽봉종택(모죽헌) / 7. 학암고택(참봉댁)

제4장 조상을 받들고 후손을 결속하는 제례와 행사
1. 허백당 김양진 불천위 제사 / 2. 유연당 김대현 불천위 제사 / 3. 9부자를 모신 추원사 향사 / 4. 문중유물 전시회 개최

제5장 문집과 전적, 유물의 세계
1. 허백당 후예들의 가학과 문집 / 2. 『세전서화첩』에 담긴 숭조의식 / 3. 유물이 말하는 허백당 문중

제6장 종손과 종부, 그리고 허백당 문중의 미래
1. 허백당종가의 종손과 종부 / 2. 허백당종가의 가르침 / 3. ‘의義’로 행동하고 ‘정情’을 실천하는 종가 / 4. 변화를 모색하고 미래를 고민하는 종가

책속으로

풍산김씨 허백당종가는 조선 중종 때 청백리로 녹선된 김양진의 종가이다. 허백당은 혼란한 사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내직을 맡아서는 “인재를 등용하고 덕치를 하도록” 상소를 올려 올곧은 정치를 하려 하였고, 외직으로 나가서는 자신의 녹봉을 털어 가난한 백성을 구휼하거나 세금을 경감하는 등 여러 고을에서 감동적인 선정을 베풀었다.
허백당종가는 또한 유연당종가이다. 한 종가에 두 분의 조상이 불천위로 모셔지기 때문이다. 유연당은 허백당의 장증손자 김대현이다. 유연당은 임란 때 구국활동에 앞장서서 수많은 난민을 구제하는 민본주의적 공을 세웠다. 또한 자녀들을 잘 가르쳐서 풍산김씨를 명문가로 도약하게 하는 새로운 계기를 만들었다. 여덟 아들이 모두 소과에 급제하였고, 그 가운데 다섯 아들이 다시 문과에 급제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인조 임금은 ‘팔련오계’의 아름다움을 이루었다 하여 마을 이름을 오미동으로 부르라고 하였다. 지금 오미동은 바로 인조가 하사한 그 이름이다. 유연당의 여덟 아들은 풍산김씨 허백당문중을 크게 번창하게 하였다.
---「지은이의 말」중에서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