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of Youngnam Culture Research

top

저서·역서

홈 > 출판간행 > 저서·역서

작성자 영남문화연구원   |  등록일 16-03-17 15:43   |  조회 918회

  • 저서/역서명 : [경북의 종가문화]3-7 무로 빚고 문으로 다듬은 충효과 예학의 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 발행처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경상북도
  • 발행일자 : 2014

내용

​​저자 : 김학수

출판사: 예문서원

 

​​

경북의 ‘종가宗家’, 세계적 명품문화로 발돋움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종가와 현저한 종가문화를 보유한 곳이다. 경상북도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종가 고택만도 120여 개소가 있으며, 비지정 종택을 포함하면 240여 개소에 달할 정도이다. 이번 경북의 종가문화 시리즈 4는 경상북도에 있는 종가 8곳(정양공 이숙기 종가, 허백당 김양진 종가, 지산 조호익 종가, 귀암 이원정 종가, 탁영 김일손 종가, 해월 황여일 종가, 경당 장흥효 종가, 옥천 조덕린 종가)을 선정하여 종가의 입지조건과 형성과정, 역사, 의례 및 생활문화, 건축문화, 종손과 종부의 일상과 가풍의 전승 등을 토대로 일반인들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내용면에 있어서도 철저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각기 집필함으로써 종가별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소개

​​

목차

제1장 입지 조건과 형성 과정
1. 연화부수형의 길지: 상원마을 / 2. 입향: 한씨 터전에서 ‘영남시대’를 열다 / 3. 유교문화경관: 조선의 인문학 마을 ‘상원’ / 4. 정양공종가를 지켜 온 사람들

제2장 종가의 역사
1. 불천위 행적과 역사적 의미: 정양공 이숙기 / 2. 종가 계승 인물의 행적: 훈적에 바탕한 세신의식世臣意識과 문장·외교·학술을 통한 보국 / 3. 정양공종가의 삶과 문화

제3장 종가의 제례
1. 정양공종가의 제례 현황 / 2. 불천위 제례의 과정과 절차

제4장 종가의 건축문화
1. 정양공종택 안채 / 2. 정양공종택 사당

제5장 종가의 일상: 종손·종부의 삶
1. 종손 이야기 / 2. 종부 이야기

책속으로

정양공 이숙기는 가슴에 만 권의 서적을 품은 흉포만권의 지식인으로서, 백가에 적용할 학문을 가진 사람이었고, 천리를 절충할 무략을 지닌 대장부였다. 그가 무를 선택했을 때 일가의 정신적 지향은 확립되었고, 공신에 올라 복록이 하늘을 찌르는 그 순간 청렴으로써 자신을 단속하였을 때 세상은 또 한 번 그를 눈여겨봤다.
결국 정양공이 추구했던 것은 개인의 영달이 아니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들의 편안한 삶이었다. 우리는 그것을 국리민복이라 부른다.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에서 이보다 더 공정하고 명확한 잣대가 또 있을까.……
상원마을에는 배움과 그것의 예로운 실천이 있었고, 세상에 기여하는 학문에 대한 열정이 있었으며, 여성을 존중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여유와 배려가 있었다. 여기에 나라가 위난에 처했을 때 보여 주었던 서릿발 같은 의기와 견위수명의 자세는 선비마을의 존재 이유를 역설하는 함성과도 같았다. 상원마을이 품고 또 추구했던 이런 면모와 가치들이야말로 인문학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마을과 집안의 삶과 문화를 조율하는 지남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 바로 정양공종가였던 것이다.
---「지은이의 말」중에서

목록보기